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tream
- access modifier
- 스트림
- identityHashCode
- singletone
- 자바
- 넘파이
- down casting
- 파이참
- has-a
- 파이썬
- ai능력시험
- parameter group
- Inbound
- 판다스
- Up Casting
- 얕은 복사
- public static final
- pycharm
- arraycopy
- Java
- 엔드포인트
- Aice
- Python
- dbeaver
- aice associate
- pandas
- extends
- generic programming
- 셔뱅
- Today
- Total
목록Computer Science (70)
٩(๑•̀o•́๑)و

주제 : Agile한 환경에 대비한 CICD(Continuous Integration Countinuous Deployment) 프로토타입 설계 설계 결과물은 하기와 같이 구성하였습니다. 크게 배포 흐름과, 모니터링 흐름 관점에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보았습니다. [ 배포 흐름 ] 1. 개발자가 개발 완료 후 GitHub(깃헙)에 해당 소스를 올립니다. 2. GitHub에 변경이 발생할 경우, Jenkins(젠킨스)에서 이를 캐치하여 배포 프로세스가 시작됩니다. (이부분은 Git과 Jenkins의 Webhook을 통해 구현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Jenkins를 통해 배포되는 전 프로세스는 Slack을 통해 알람을 발송할 수 있습니다.(Slack Notification) 3. Jenkins에서는 SonarQ..

기록용. 돌고돌아 다시 보안이라니~다시 클라우드 보안이라니~ 참고 도서 : 클라우드 컴퓨팅 - 개념에서 설계, 아키텍처까지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9744090)
세트 = {값1, 값2, 값3} >>> people = {'kim','park','lee','kang'} >>> people {'lee', 'park', 'kang', 'kim'} >>> >>> people = {'kim','park','lee','kang','park'} >>> people {'lee', 'park', 'kang', 'kim'} >>> people['kim']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 line 1, in TypeError: 'set' object is not subscriptable >>> >>> people {'lee', 'park', 'kang', 'kim'} >>> 'kim' in people True >>> 'kim' not ..
print('#1. replace') print('hello world'.replace('hello', 'Hello')) print('hello world'.replace('hello1', 'Hello')) print('\n#2. translate') table = str.maketrans('abcde','12345') print('abcdefghijk'.translate(table)) print('\n#3. split') print('kim park lee kang choi'.split()) print('\n#4. join') print(' '.join(['kim', 'park', 'lee', 'kang', 'choi'])) print('\n#5. upper') print('python'.upper()..
#1. 2차원 리스트 a = [[10, 20], [50, 60, 70], [9], [30, 40], [8], [82, 9, 100, 0]] print('a[3][1] = ', a[3][1]) print('a[5][2] = ', a[5][2]) ====Result==== a[3][1] = 40 a[5][2] = 100 #2. 2차원 리스트 동적 생성 # [[1, 2], [30], [4, 50, 6]] a = [] a.append([]) a[0].append(1) a[0].append(2) a.append([]) a[1].append(30) a.append([]) a[2].append(4) a[2].append(50) a[2].append(6) print(a) ====Result==== [[1, 2], [3..
# tuple -> immutable! #1. count, index, map for i in range(2): a = tuple(map(int, input().split())) if a.count(30) > 0: print(a.index(30)) else: print('Not Found') ====Result==== 1 3 6 8 Not Found 2 5 4 20 30 4 #2. tuple 표현식 tuple(식 for 변수 in 리스트 if 조건식) a = tuple(i for i in range(10) if i%3 == 0) print(a) b = tuple(i+3 for i in range(6) if i%2 == 0) print(b) ====Result==== (0, 3, 6, 9) (3,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