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rraycopy
- pycharm
- ai능력시험
- dbeaver
- Python
- 파이썬
- parameter group
- singletone
- Aice
- public static final
- has-a
- 얕은 복사
- 자바
- Java
- 판다스
- 셔뱅
- access modifier
- Up Casting
- aice associate
- generic programming
- down casting
- identityHashCode
- pandas
- Stream
- 스트림
- Inbound
- extends
- 엔드포인트
- 넘파이
- 파이참
- Today
- Total
목록Computer Science (70)
٩(๑•̀o•́๑)و

1. Jenkins에서 slack 플러그인 설치 2. slack app directory에서 jenkins 추가 3. Jenkins 설정 변경 case1) 파이프라인이 freestyle로 작성된 경우, 이 경우는 빌드 환경 메뉴 안에 빌드 후 조치로 slack notification 옵션이 존재한다. 이제 빌드를 클릭하면, 정상적으로 빌드에 대한 노티를 확인할 수 있다. case2) pipeline 으로 작성하여, 파이프라인 전체가 Jenkinsfile에 있을 경우, 이 경우는 동일하게 슬랙 노티에 대한 부분도 Jenkinsfile에 기재해야한다. pipeline { agent any # 슬랙 채널 설정 environment { SLACK_CHANNEL = '#jenkins' } stages { # 파이..

1. credential 연결 Jenkins 설정에서 GitHub Server정보 입력 2. 파이프라인 생성 깃에서 아래의 간단한 프로젝트를 fork 뜨고 해당 프로젝트로 파이프라인을 만들어보고자한다 https://github.com/11mia/docker-hello-world GitHub - 11mia/docker-hello-world: Node.js "Hello world" Node.js "Hello world". Contribute to 11mia/docker-hello-world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우선, Jenkinsfile로 젠킨스 파이프라인을 작성한 후, 깃에 반영하였다. (git의 소스를 빌드까지만 하고, 배..

# 로그에서 비밀번호 확인 kubectl logs podID -n jenkins # 샘플 파이프 라인 작성 # 샘플 스크립트 작성 node { stage('Ready') { sh "echo 'Ready'" } stage('Build') { sh "echo 'Build'" } stage('Deploy') { sh "echo 'Deply'" } } # 파이프 라인 실행 # 어디까지 했나 # 참고 https://www.digitalocean.com/community/tutorials/how-to-install-jenkins-on-kubernetes How To Install Jenkins on Kubernetes | DigitalOcean Jenkins is a widely-used open source au..

노드 간 PVC, PV 구성을 위해 NFS 서버 구성 진행 1. nfs 서버 구성 : master node apt install nfs-common nfs-kernel-server portmap # 공유할 폴더 생성 midir /home/share/nfs # 권한 변경 chmod 777 /home/share/nfs # 공유 폴더에 대해 허용 ip 및 권한 설정 # /home/share/nfs *(rw,sync,root_squash) 추가 vi /etc/exports # 설정 변경적용 위해 재기동 service nfs-server restart # 서버 상태 확인 systemctl status nfs-server.service # 서버 재기동시 활성화되도록 설정 systemctl enable nfs-ser..

※ 간단 개념 정리 □ Helm : 쿠버네티스에 패키지를 쉽게 배포할 수 있도록 패키지를 관리하는 쿠버네티스 전용 패키지 매니저. 기본 저장소는 아티팩트허브(https://artifacthub.io) Artifact Hub Find, install and publish Kubernetes packages artifacthub.io 1. 설치 # 방법1 curl -fsSL -o get_helm.sh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elm/helm/master/scripts/get-helm-3 chmod 700 get_helm.sh ./get_helm.sh # 방법2 cur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elm/helm/master/script..

# 간단 개념 정리 □ Volume(볼륨) : Docker 컨테이너의 생명 주기와 관계없이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옵션 중 하나. □ 도커 : 컨테이너를 위한 운영체제. 컨테이너를 구축, 시작, 중단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을 제공. sw를 표준화된 유닛으로 패키징하여 컨테이너로 생성한다 □ 컨테이너 : 코드, 런타임, 시스템 도구, 시스템 라이브러리 등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필요한 모든 것을 패키징한 단위. 애플리케이션을 관련 라이브러리 및 종속 항목과 함께 패키징하여 서비스 구동을 위한 격리 환경을 마련한다. 1. 도커 이미지 검색 : 이미지 레지스트리에서 검색하며, 별도 지정하지않을시, 디폴트는 도커 허브(https://hub.docker.com) docker search nginx ..

1. 대시보드 배포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dashboard/v2.2.0/aio/deploy/recommended.yaml 2. 로그인 계정 생성 # Service Account 생성 apiVersion: v1 kind: ServiceAccount metadata: name: admin-user namespace: kubernetes-dashboard # ClusterRoleBinding apiVersion: rbac.authorization.k8s.io/v1 kind: ClusterRoleBinding metadata: name: admin-user roleRef: apiGroup: rbac.authorization..

※ 간단 개념 정리 □ HPA(Horizontal Pod Autoscaler) : CPU 사용량 (또는 사용자 정의 메트릭, 아니면 다른 애플리케이션 지원 메트릭)을 관찰하여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ReplicationController), 디플로이먼트(Deployment), 레플리카셋(ReplicaSet) 또는 스테이트풀셋(StatefulSet)의 파드 개수를 자동으로 스케일 우선 자원 사용량을 확인해보자 HPA는 자원을 요청시, 메트릭 서버를 통해 계층 값을 전달받는데, 이부분에 대해 설정을 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고있다. 1. 메트릭 서버 설치 2. 아래 시나리오를 따라 테스트를 해보자 https://kubernetes.io/ko/docs/tasks/run-application/horizo..